### Claude AI, 간접 프롬프트 인젝션 취약점으로 데이터 유출 위험
Claude AI의 간접 프롬프트 인젝션 취약점이 민감한 데이터를 외부로 유출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는 보안 경고가 발표되었다. 이는 AI 시스템 보안의 중요성을 다시금 강조하는 사례이다.
Claude AI의 API는 간접 프롬프트 인젝션을 통해 공격자가 민감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자신의 계정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공격은 전통적인 보안 통제를 우회할 수 있으며, 특히 민감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조직에 중대한 위협이 된다. 이러한 취약점은 AI 응답 생성 메커니즘의 논리적·행동적 조작 문제로, AI 시스템의 새로운 보안 위협을 보여준다 ([radar.offseq.com](https://radar.offseq.com)).
보안 연구원 Johann Rehberger는 Claude AI의 Code Interpreter 기능에서 최대 30MB의 데이터를 외부로 유출할 수 있는 취약점을 발견했다. 그는 공격자가 악의적인 문서를 Claude에 입력하도록 유도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샌드박스 내 파일로 저장한 후, 공격자의 API 키로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음을 시연했다. 이 문제는 Claude의 기본 네트워크 접근 설정이 악용의 통로가 된다는 점에서 더욱 심각하다 ([cinchops.com](https://cinchops.com)).
Techzine의 보고에 따르면, Claude의 기능 확장이 보안 경계를 약화시켰다. Claude는 파일 생성, 프로그램 실행, 네트워크 접근 기능을 제공하여 생산성을 높였지만, 동시에 보안 취약성을 드러냈다. hCaptcha Threat Analysis Group은 유사한 공격이 OpenAI의 ChatGPT Atlas, Google Gemini 등 다른 AI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경고했다 ([techzine.eu](https://www.techzine.eu)).
이러한 상황에서 AI 시스템의 보안은 입력 검증, 출력 모니터링, AI 전용 보안 테스트 등을 포함한 AI 중심 보안 전략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또한, Anthropic과 같은 AI 제공업체는 네트워크 접근 제어, API 권한 관리, 프롬프트 인젝션 방어 등 보안 강화 조치를 도입해야 한다. 기업들은 AI 도구 사용 시 기본 설정을 맹신하지 말고, 네트워크 활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등의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AI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은 이제 단순한 기술적 문제가 아니라, 기업의 데이터 보호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중요한 사안이다. 따라서 AI 보안 표준 강화와 AI 시스템 전반의 보안 전략 재정비가 시급하다.


